티스토리 뷰

반응형

 

전남 고흥군 도양읍 소록도에서 43년 한 평생 동안, 한센병 환자를 보살펴 온 외국인 수녀 2명이 편지 한 장 남긴채 조용히 떠났습니다. 

 

소록도 주민들은 이별의 슬픔을 감추지 못한 채, 일손을 놓고 성당에서 열흘이 넘도록 두 수녀님을 위한 기도를 드리고 있습니다. 소록에서 평생을 환자와 함께 살아온 마리안(71), 마가레트(70) 수녀 두분은, 고국인 오스트리아로 지난 달 21일에 떠났습니다. 

 

마리안 수녀는 1959년에 소록도에 처음으로 왔고, 마가레트 수녀는 1962년에 소록도에 첫 발을 디뎠습니다. 두 수녀님은 장갑도 끼지 않은 상태로 한센 환자들의 상처에 약을 발라 주었고, 외국인 의료진들을 초청하여 장애교정 수술도 해 주고, 한센인 자녀를 위해 영아원을 운영하는 등, 보육과 자활정착사업에 평생을 헌신 하셨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들의 선행을 뒤늦게 알게 되어, 1972년 국민표창, 1996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여 하였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에 아무도 모르는 이른 새벽에 두 수녀님은 조용히 섬을 떠나셨습니다. '사랑하는 친구와 은인들에게' 라는 편지 한 장만 남긴 채 말이죠

 

편지에서 '나이가 들어 제대로 일을 할 수 없게 되어, 우리들이 이곳에 부담을 주기 전에 떠나야 한다고, 당신들에게 이야기 해 왔는데, 이제 그 말을 실천 할 때라 생각 했다' 고 전했습니다. 

 

이들은 '부족한 외국인으로써 큰 사랑과, 존경을 받아 너무도 감사하며, 저희들을 부족함으로 마음 아프게 해 드렸던 일에 대해 용서를 빈다'고 전했습니다.

 

김명호 소록도 주민자치회장은 '주민에게 온갖 사랑을 베푼 두 수녀님은 살아있는 성모 마리아였다' 라며 '작별인사도 없이 섬을 떠난 두 수녀님들 때문에 섬 전체가 슬픔에 잠겨 있다' 고 말했습니다. 

 

43년간 소록도에서 봉사활동을 한 마가레트 수녀와 마리안 수녀는, 오스트리아 간호학교를 졸업 후에, 소록도 병원에서 간호사를 원한다는 소식이 소속 수녀회에 전해지자

 

1962년, 1966년 차례로 소록도에 오게 되었습니다. 

 

환자들이 말리는데도, 약을 꼼꼼히 발라야 한다면서, 장갑도 끼지 않은 채 상처를 어루 만졌고, 오후엔 손수 죽을 쑤고, 과조도 구워서 바구니에 담아 들고 마을을 돌았습니다. 

 

소록도 사람들은 전라도 사투리에 한글까지 깨친 두 수녀를 '할매'라고 불렀습니다. 꽃다운 나이 20대부터 수 많은 환자의 손과 발이 되어 살아 왔는데, 어느새 지금은 일흔이 넘은 할머니가 되었습니다. 

숨어서 어루 만지는 손의 기적과, 주님말곤 누구에게도 얼굴을 알리지 않은 베품이, 참 베품임을 믿었던 두 사람은 상이나 인터뷰를 번번히 거절 하셨습니다. 10여년 전에 오스트리아 정부에서 훈장을 주기 위해 섬까지 찾아와야 했습니다. 

 

병원에서 마련한 회갑 잔치 마저도 '기도하러 간다' 면서 피했습니다. 

 

두 수녀에게 본국 수녀회에서 보내 오는 생활비까지 호나자들 우유와 간식비, 그리고 성한 몸이 되어 떠나는 사람들의 노자로 나누어 주었습니다. 두 수녀의 귀향길에는 소록도에 올 때 가져왔던 다 낡은 가방 한개만 들려 있었다고 합니다. 

 

외로운 섬, 버림의 섬, 건너의 섬에는 두 성녀가 다녀간 그 섬은, 상처받은 사람들을 반세기 가깝게 보살핀 수녀님의 사랑의 향기로 민들레 씨앗처럼 바람에 날려 어두운 곳을 밝히고 추운 세상을 덥혀 주리라 믿습니다. 

 

이제는 70세가 되어버린 마리안 수녀님은 '처음 왔을 땐 환자가 6,000명 정도 였는데, 아이들도 200명이 넘었고, 약도 없고 돌봐줄 사람도 없었습니다. 한 사람, 한 사람, 치료 해 주려면 평생 이곳에서 살아야 하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두 수녀님들은 팔을 걷고 환자들을 직접 치료하기 시작한 것이 40년이 넘었습니다. 할 일은 지천이었고, 돌봐야 할 사람들은 끝이 없었다고 합니다. 

 

그렇게 40년동안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은 채 봉사하고, 정성을 쏟은 소록도는 이제 많이 좋아져서, 환자도 600명 정도로 크게 줄었습니다. 

 

누군가에게 알려질까, 요란한 송별식이 될까 조용히 떠나셨다고 합니다.

 

두 분은 배를 타고 소록도를 떠나던 날, 멀어지는 섬과 사람들을 멀리서 바라보며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며 우셨다고 합니다. 20대부터 40년을 살았던 소록도 이기에, 소록도가 그들에겐 어느새 고향이나 마찬가지 이기에, 이제 돌아가는 오스트리아는 40년의 세월이 흘렀기에 오히려 낯설게 느껴집니다. 

 

지금 수도원 3평 남짓 방 한 칸에 살면서, 소록도가 그리워서 방을 온통 한국의 장식품으로 꾸며놓은 채, 오늘도 '소록도의 꿈' 을 꾸신다고 합니다. 그 분의 방문 앞에는 그 분의 마음에 평생 담아 두었던 말이 한국말로 쓰여 있다고 합니다.

 

'선하고 겸손한 사람이 되라'

 

지금도 소록도의 집, 병원이 어제 일 처럼 생각나고, 바다는 어찌나 푸르고 아름다운지 하지만 괜찮습니다. 마음만큼은 가득하게 소록도에 두고 왔으니까

 

평생을 소록도에 헌신하신 두 수녀님께 감사 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