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2년순정 만화잡지 '댕기'에서 김진 작가의 '바람의나라'가 연재되기 시작 1994년본격적인 게임 개발 시작 프로그램: 김정주, 송재경디자인: 박정협, 박원용개발비, 장비 지원: 한국IBM(계혜실, 한재술, 고재범, 정태준)네트워크 회선 지원: 아이네트 기술(허진호, 유재준)1994년 12월 넥슨 설립 1995~1997년1995년 12월, 세계 최초의 온라인 게임으로서 오픈베타서비스 시작 95년 직업(전사,주술사,도적) 및 마법 구현 96년 도사 출시 95~96년 첫 던전 곰굴 개장 무림대전, 무한대전 개최 12지신의 유적 등장(1995년 후반, 용굴은 다른 던전들보다 늦게 나옴) 1996년 4월, 정식 서비스 시작. 이때부터 유리력이 아니라 바람력 사용. 1996년 4월 12일 천리안에서 상..

전사.. 전붕이로 불리는 직업으로 굉장히 고난이도에 속하는 직업 입니다. 99까지 찍었는데, 어떻게 레벨업 했는지, 어떻게 키웠는지에 대해 한번 정리나 해보겠습니다. LV. 1~30 살짝 루즈하고 노잼구간으로 스페이스바 누르면서 패대기질만 꾸역꾸역 해야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사냥 루트는 초보자사냥터-> 쥐굴-> 뱀굴에서 30까지 마무리 했습니다. 끼는 무기는 힘에 따라 달라지는데, 힘은 전사다 보니 레벨마다 1씩 오르고, 그외에는 주술사의 대지의힘을 받으면 일정 시간동안 3 정도 올라간다 보시면 됩니다. 상점에서 파는 무기는 목검 힘5, 사두목도 힘10, 사두목검 힘13, 도씨검 힘15, 장창 힘17 으로, 사냥터에서 줏은 도토리, 쥐고기, 뱀고기 같은거로 충분히 구매 가능한 아이템들 입니다. ..

[1세대]바람의나라 초창기 [2세대]바람의나라가 점점 알려지던 시기 [3세대]많은 이용자들이 좋아했던 근본이라는 시기 [4세대]신버전 출시 초기그땐 그랬지 바람의나라.. 탭+탭+엔터로 접속을 빠르게 하는게 국룰입니다 여러개의 서버가 있었습니다. 연서버와 무휼이 사람이 제일 많았고 하자는 10대 추천서버. 아이디는 뭘로 해야될지 엄청난 고민이 시작됩니다. 레벨 19 이하까지는 무료였습니다. 그 이후는 정액제를 신청해야 합니다 뱀굴 앞에서 길막하는애 꼭 있었습니다 친구목록은 F3을 눌러서 수동으로 적어야 했습니다 (20칸이 최대) 사냥갈 사람 구하거나, 물건 사고팔때는 주로 게임내에서 b를 눌러 게시판을 이용했습니다 컨트롤+W 를 누르면 현재 접속자 목록 창이 ..

미국 온라인게임 중에 Nexus라고 하는, 20년 넘게 정액제로 운영 중인 바람의 나라 서버가 있습니다.한국에 넥슨이 미국에서 철수할 때 라이센스를 팔았으며, 그렇기 때문에 프리서버가 아닌 정식서버로 운영중에 있습니다.한국의 바람의 나라와 기본적인 메커니즘은 같지만, 초상 지령서, 축지와 같은 플레이 요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아이템은 판매하지 않으며, 그나마 판매하는 캐시템도 한국 바람의 나라에 비해 굉장히 한정적인 틀에서만 판매하고 있습니다.그렇기 때문에, 무기, 방어구, 기타 아이템도 캐릭터의 파워 요소에 최소한의 영향만 미치며, 운영이 20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도 그 옛날 한국 노가다 RPG게임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합니다.지금은 대한민국의 게임 대부분이 Pay To Win과 같이, 돈이면..

1. 성장의동굴 - 850 레벨까지 성장할 수 있는 동굴 - 850 이후 현존 최고의 논피케이 사냥터 2. 일본 - 일본지역 입장레벨 850 / 지역결속 파빙 사냥터 - 몬스터의 전투를 기존과는 다르게 함 -> 기존 피해저항,피저관 등을 이용했으나, 일몬추 등의 능력을 활용할 예정 - 상위사냥터에 갈수록 경험치효율 및 전리품 차등이 있을 예정 3. 필드보스 규칙변경 - 신규 일본은 지역 필드보스X / 지정된 시간에 등장하는 전 채널 체력공유 필드보스만 등장 - 이번 일본보스만 바뀌는 것 / 기존 필드보스는 바뀌지 않음 4. 일본지역 결속장비 - 자동사냥에도 완제품을 획득할 수 있게 함 / 지역 내의 성장을 강화하기 함 - 20강 지역 보물장비를 통해 지역 전설장비를 제작할 수 있음 - 일본 월드보스 경매..

1. 빠른 레벨업을 원한다면 무조건 도적 추천 (이속 및 필살첨이 넘사...) 2. 마찬가지로 빠른 레벨업을 원한다면, 주 임무 메인 퀘스트 위주로 하되, 퀘스트를 못 받는 시기엔, 각 던전의 끝굴에 있는 보스몹을 채널이동하면서 잡을 것 (일반몹 1억경 줄까 말까 할때, 5~10억경) 3. 후에 세작부턴 메인퀘를 밀되, 보스몹 잡기 보단, 폭8굴을 추천(젠 되는 속도가 넘사..), 흉가땐 폭3, 폭6, 폭9 비밀통로를 추천함 4. 방어구는 굳이 강화할 필요는 없고(강화를 해봤으나 그리 효과를 보지 못했음) 깹굴부터 얻을 수 있는 깹무기를 받자마자 돈이 되는 대로 안촉비 꼴아박으면서 고강화 만드는 것을 추천 함(몬스터를 최대한 빠르게 잡는 것이 관건) 5. 황금호박 모기(황금호박 10개)-> 도감효과 전리..

백두산 레이드 2단계 공략법 입니다. 도전할 엄두조차 나질 않았었는데, 날 잡고 도전한 결과 운 좋게 클리어 할 수 있어서 가볍게나마 공략글 써 보고자 합니다. 1. 첫 페이즈 공략법(체력 1 남을때까지 구슬 피하기) 처음에 들어가자마자 구미호 코 앞까지 가서 말뚝딜 박으면서, 오른쪽에 구슬 생기면 멀리 이동하거나, 캐릭 고유의 무적기를 수동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일단 무적기를 수동으로 쓰는 것을 추천 드리는데, 피하는 타이밍이 조금이라도 늦거나, 멀리까지 이동하지 못하면 거의 즉사하기 때문에, 무적기 쿨이 긴 직업이 아니라면 수동으로 써 주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이렇게 코앞에서 다 같이 딜을 하게 되면 위 사진의 암전 상태를 큰 문제 없이 해결이 가능하게 되는데, 암전이 걸린 순간 파티원 전부 같..

환수 : 12지신 변신 리뉴얼 예정 장비 효과도감 : 한달에 1번씩 추가 될 예정, 지속적으로 월보를 통해 수급될 예정 목표치까지 자동강화 추가 예정 용왕의 보급선 : 지급되는 아이템 대비하여 붉은보석 설정, 앞으로 계속 지속될 것임 거래소 개선 : 단계별로 존재하던 추가 수수료 패널티 삭제 / 추가적인 개선이나 방향은 논의 후에 서신 예정 작업장 및 다클라 : 작업장은 내년 중순 즈음에나 정리 가능 할 것 같음, 보스의 작업장은 일반 필드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 하고 있음 과도한 다클라는 회사에서 그리 좋게 보지 않음, 다클라는 1월 이후 다시 말할 예정 급속도약 : 앞으로는 진행되지 않을 예정 / 이것을 대체 할 수 있는 것을 2월에 준비할 예정 용무기, 가방, 주작공성 : 3월에 말할 예정 신수상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