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래는 간단하게 끝났습니다. 우리는 그에게 몇가지 질문을 해야했고, 그도 우리에게 몇가지 질문을 하는 정도 였으니까요 다만, 무언가를 물어본다는 것이 약간은 이상하게 느껴지긴 했습니다. 도대체 악마가 우리한테 뭘 알고 싶어하는지, 저 역시 말해줄수가 없었습니다. "천국은 실제하나요?" "실제해." 악마는 대답했습니다. 그의 목소리는 마치 화톳가에 꺼져가는 불꽃 같았습니다. "그리고 지옥도 존재하지." "누가 천국에 가나요?" "신이 그 곳에 있기를 바라는 누구든지." "그건 우리에게 너무 애매한 대답이라 좀 두렵네요." "그게 뭐지?" 그는 눈을 들어올리며 물어 보는데.. "네?" "두렵다는게 뭐지?" 잠깐 혼란스러웠지만, 저는 최선을 다해 공포라는 감정을 묘사하려고 했고, 저의 설명이 약간 서툴렀지만..

이 이야기는 지인 C군이 고등학교 때 겪었던 다소 기묘한 이야기입니다. 가끔 살다보면 정신없이 뭔가를 찾는 사람을 보게 될 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런 사람이 본인에게만 보일 때인데요. 그럴 때는 절대 모르는 척 하십시오. 그거 사람 아닙니다. 때는 고2때, 친구들이랑 늦게까지 해운대 송정 바닷가에서 놀다가, 집에 가려고 버스를 기다리는데, 한 아가씨가 뭔가를 찾고 있더라고요. 이상한 것이 아가씨가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 한명, 한명에게 뭐라고 묻는데, 아무도 대꾸하지 않는 것 이었습니다. '혹시 동네에 사는 미친 여자라서 그러려니 하는 것인가?' 라며 버스를 계속 기다리는데, 어느 시점에서 그녀가 저에게 말을 거는 것입니다 "제 보라색 핸드백이 어디 있는지 아세요?" 그런데 목소리가 말이죠, 사람 목소..

피해자는 광동성에서 다운 증후군을 앓던, 36살 된 린샤오런 (Lin Shaoren) 이라는 사람이었는데, 어느날 집 앞에서 갑자기 실종이 되었습니다. 그렇게 2년이 지나도록 소식이 없어, 가족들은 점점 애가 탔고, 아무리 다운증후군 환자라고 해도 집 앞에서 길을 잃어버릴 일은 없다고 생각이 들어, 누군가 납치나 유괴해 간 것으로 판단했고, 처음부터 가족들이 공안에게 찾아가서, '제발 우리 샤오런이를 찾아주세요' 라고 애걸복걸 했지만, 공안들 입장에선 귀찮은 데다가 돈도 되지 않는 일이라 대충 넘겼습니다. 대놓고 '돈도 없는데 어디서 신고질이야야 꺼져!'라고 내 쫓았으며, 이렇게 문전박대를 당했음에도 샤오런네 가족들은 포기하지 않았고, 이웃 친척들로부터 10만 위안을 구해다가, 공안들에게 찔러주니까 그 ..

1. 익사가 그렇게 괴로울 줄은 몰랐어. 이번엔 끓는 물을 쓰더군. 2. 30년 뒤에야 어릴 적 살던 집으로 돌아가기로 결심했다. 30년이나 지났는데도 난 여전히 서까래에 매달려있었다. 3. 쓰고 있는 책에서 등장인물 몇을 죽이기로 했다. 자서전에 양념을 좀 쳐야했거든. 4. 죽고 나서도 여전히 신체 감각을 느낄 수 있다니 신기하네. 남편이 죽은 나를 이토록 매력적으로 생각할 줄이야. 5. 괴물을 두려워하지 말고 그냥 한번 보라고. 왼쪽도, 아래도, 침대 밑도, 옷장 뒤도, 벽장 안도, 하지만 결코 위는 안 돼, 들키는 걸 싫어하니까. 6. 그녀는 왜 그림자가 둘인지 궁금해했다. 전등은 하나뿐이었으니까. 7. 딸이 한밤중에 계속해서 울고 비명질러. 무덤에 가서 멈추라고 해도 듣지를 않네. 8. 장례식 참..

중국의 티베트, 위구르인 대학살의 현장에는, 여성들은 남편이 죄를 인정하지 않으면 그 눈앞에서 강간당했으며, 또한 남편들은 사람들 앞에서 아내와 성교하도록 강요당하는 경우도 있었고, 그 대부분이 처형당하게 됩니다.. 그리고 아내와 딸은 중공 병사들에게 던져졌으며, 비구니조차 이 폭력에서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알몸이 된 스님은 비구니와 성교하도록 강요당하고, 승려의 대부분은 처형당했으며 비구니는 중공 병사들의 먹이가 됩니다. 사방에서 여성은 강간, 그것도 여러 번 범해진 끝에 살해됩니다. ('중국은 어떻게 티베트를 침략했나' 140 페이지) 경건한 불교 국가 티벳의 지도자인 승려들이 살생을 금지했는데, '부처님을 경배하고 있으면 평화는 유지된다' 고 주장하며 저항을 금지했지만, 그 결과 티베트는 지옥이 ..
어느 부대였는지는 밝히지 않겠습니다. 뭐가 좋다고 살인 사건 난 부대를 밝히겠습니까. 09년도 봄이었던 걸로 기억 하는데, 토요일 오전 시간, 짬 안되는 애들은 종교활동 가고 빠질대로 빠진 병장이었던 저와 동기는 그 당시 중대에서 유행하던 Bang! 이라는 카드 게임하다가 서로 멱살잡고 있었던 걸로 기억 합니다. 10시 40분 쯤, 종교 활동이 끝나고 얘들이 슬슬 복귀하고 지들도 끼워달라고 징징대고, 창 밖에서는, 연병장에서 1대대 새끼들이 욕짓거리 퍼부으며 축구하는소리가 들려오던, 평범하고 평화로운 주말이었습니다. 몇 시간 뒤, 부대가 발칵 뒤집어 지기 전 까지는 말입니다. 오후 13시 즈음, 밥 먹기 싫어서 PX 에서 냉동 돌리고 있는데, 1대대 동기가 제게 이상한 소리를 하는데, 이번에 들어온 좀 ..

아오키가하라 숲은, 일본의 자살 명소 또는 죽음을 부른다는 장소 입니다. 지난 1978년부터 2003년까지 약 25년간 아오키가하라 숲에서 발견된 유해만 약 1,000여 구에 달한다고 합니다. 아오키가하라 숲은 일본 후지산 자락에 위치한 숲으로 울창한 나무들이 빽빽하게 들어선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자살 명소가 된 계기는, 지난 1960년대 출간한 소설 '파도의 탑'의 영향 때문이라고 합니다. 소설 속 주인공이 아오키가하라 숲에서 자살했고, 당시 이 소설이 인기를 끌면서 베르테르 효과를 불러일으키게 되었다고 합니다. 휴대폰이나 의복, 지갑등이 남겨져 있는 가운데에, 흰 가죽신과 흰 가죽 바지가 있기도 합니다. 사진은 올릴 수 없지만, 유품도 아무것도 없이, 두개골만이 남겨져 있기도 합니다. 수해 내에 ..

죽음에 대한 공포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제가 생각하는 대표적인 것은 두 가지 정도가 있는거 같습니다. 첫 번째는 흔히 말하는 절박한 상황에서의 공포인데, 짤막한 시간에 어떤 요인으로부터 생명의 위협을 느낄때 사람이 본능적으로 느끼는 공포. 말 그대로 본능으로부터 나오는 것 입니다. 두 번째 공포는 본능적으로 느끼는게 아닌 죽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존재의 상실'에 대한 공포입니다. 이 공포는 인간만이 느끼는 공포라고 생각합니다. 이성을 가진 인간이 자신의 상상력으로 죽음 이후를 고민할 때 오는 막연한 좌절감이 이때 존재합니다. 이 두려움은 단순히 '죽을때 아플까?' 또는 '죽고나면 사랑하는 사람들을 못보겠지' 등과 같은 수준의 걱정으로 부터 나오는게 아니라, 나라는 존재가 사람들에 의해 잊혀지고 아무것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