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뉴스를 보다보면, 저 사람들은 이때까지 많이 냈으니, 그만큼 많이 수령받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지 모릅니다. 혹은 저 오히려 물가상승 대비 손해일 지도 모르고, 그렇다면 내고싶지 않았음에도 억지로 낸 것을 돌려받는 것이라 생각 할수도 있습니다. 그런 생각을 아직도 가지고 있는 청년세대가 있다면, 현재까지도 사태의 심각성을 모르는 것이라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일단 대부분의 청년들이 착각할 수 있는 국민연금은 기본적으로 "세금"이 아니라는것과, 과거의 보험료율,소득대체율은 지금과 차이가 크게 나고 있다는 것 입니다. 일단 과거 보험료율,소득대체율 보자면.. 국민연금은 1988년 만들어졌고, 초기엔 3% 정도만 납입하고, 가져가는 금액 구조는 70%나 되는, 정말 말도 안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

돼지는 인간에 버금가는 잡식성이기 때문에, 고기도 아주 잘 먹고 사냥도 할 줄 압니다. 그렇기에 동족의 고기인 돼지고기도 잘 먹는데, 기록에 의하면 옛날에 돼지를 들판에 풀어 놓고, 키우다가 돼지가 사람의 아기를 잡아먹은 적도 있다고 합니다..현재 우리가 식용으로 키우는 돼지, 일명 집돼지는 멧돼지과에 속합니다. 즉, 멧돼지를 가축화시킨 아종이라 볼 수 있는데. 우리에겐 집돼지가 워낙 익숙하고, 멧돼지는 야생에 서식하며 쉽게 접 할 수 없기 때문에 집돼지를 돼지의 대표적 존재로 생각하기 쉬우나, 엄밀히 말하면 멧돼지야말로 '진정한' 돼지라 볼 수 있습니다. 사실 12간지에 속하는 돼지띠도 원래는 멧돼지를 가르키긴 합니다. 뚱뚱한 사람을 놀릴 때 흔히 돼지라고, 놀리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돼지의 체지방..

결론부터 말하면, 돈 문제가 크기 때문입니다. 우유가 남아서 우유를 그냥 버린다고, 낙농업자들 비난하기 바쁘지만, 결론적으로 그 행위조차 경제적 논리에 의해서 돌아가게 되는 것 입니다. 버리는 이유도 돈 문제가 크긴 한데, 생산원가(소의 가격 감가상각+사료+축사투자비용+축사유지보수비용+인건비+기타등등)가 판매가보다 높으면, 결국 손해라는 결론이 지어집니다. 뭔가 다른 이유가 있는게 아니라면 팔때마다 적자라는 계산이 나오게 되지요 (미끼상품같이 다른데서 이득을 보는 구조) 동네에 봄에 양배추를 심는 아저씨가 있는데, 어느 해에는 작업을 조금 하다가 그냥 다 밭을 갈아엎어 버렸는데, 그 이유는 마찬가지로 돈이 되질 않으니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농사짓고, 작업해서 팔아봐야 작업비도 안나오는데 어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