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일본은 여러개로 분열되어 있다가 통일이 되지만, 내부적으로 완벽하게 단합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이에 임진왜란을 통해 조선이라는 외부의 적을 만들고, 결국 전쟁에서는 패배하지만 내부적으로 통합되게 됩니다.

이에 쇼군은 지방 다이묘들을 견제하기 위해 특별한 제도를 만들게 됩니다.

지방정부가 부를 축적하는것을 견제하기 위함이라 볼 수 있는데,


본래 다이묘를 견제하기 위한 정책이였으나 국가인프라가 급속도로 발전하게 됩니다.





즉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전부터 상업과 인프라가 크게 발전하였으며, 서양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성장할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입니다.
물론 농본국가에서 상업이 발전하는 괴리는, 이후 대기근, 쇼군의 정책등에 의해, 국가 정책이 농사위주 vs 상업위주로 와리가리를 반복하게 됩니다.

당시 동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했던 나라는 청나라 였습니다. 그러나 1840년 아편전쟁으로 청나라가 영국에 패배하자 일본은 큰 충격에 빠지게 됩니다.

이에 일본 수뇌부는
"유럽으로부터 불평등한 조항을 강요당한 것은 일본의 사법제도가 그들로부터 인정받지 못한 탓이다. 그들로부터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사법제도를 구축하고 불평등을 해소해야 한다."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1854년 개국 이래 불평등조약의 개정은 일본 사회의 지상과제가 되었습니다.
지식인들이 열강국들로 유학을 가서 그들의 법제를 습득하고 외국의 전문가를 초빙해 지도를 청하고 국가 지성의 총력을 기울여 법제의 근대화에 매진하게 됩니다.
이후 유럽의 법제를 철저히 연구하여 6법 체계가 완성되었습니다.
유럽국들이 더 이상 법체계의 이질성, 미성숙성을 이유로 불평등을 강요할 수 없도록 준비를 단단히 한 일본은 불평등 조약 개정을 요구합니다.
일본 정부는 1892년 포르투갈의 영사재판권을 포기하고, 1894년 청일전쟁의 승리를 기화로 영국을 강하게 몰아붙여 기존의 불평등조약을 개정한 ‘일영통상항해조약’을 체결하고 이후 열강들로부터 사법 주권을 회복하였습니다.
또 메이지 유신으로 서양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본격적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특히 러시아는 추워서 겨울에 바다가 얼어버려서 얼지않는 항구인 부동항을 얻기 위해 노력하였고, 이에 조선이 러시아를 끌어들일 수 있었던 것 역시 조선의 부동항을 얻고자 하였기 때문입니다.


특히 영국은 일본과 동맹을 체결하고 이전부터 영국군함 배치, 채권지원등을 통해 일본이 성장하는데 기여하게 됩니다.
일본이 러일전쟁을 할때 일본의 채권을 매입하는등간접적으로 일본을 지원하고, 일본은 8년치 예산을 퍼부어서 러일전쟁에서 승리하면서 본격적으로 국제사회의 열강들로부터 인정받는 계기가 됩니다.
이후 일본은 조선병합, 1차세계대전을 거치며 또한번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반응형
'딥한이야기 > 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전쟁 자폭 '성형작약탄' 이야기 (0) | 2024.04.24 |
---|---|
조선시대 인간 컴퓨터 엑셀 정약용 이야기 (0) | 2024.04.24 |
아직도 굶어죽는 이가 생기는 이유 (0) | 2024.04.23 |
플스방에서 벌어진 실화 이야기 (0) | 2024.04.19 |
미국이 장수말벌 사냥을 강하게 하는 이유 (0) | 202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