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거나, 고사양 게임이나 그래픽 작업 등, CPU에 부담이 되는 환경에 있다면, 추천하는 쿨러 입니다.
써모랩 BADA 2010 제품으로, 국민쿨러라는 말에 맞게 가격도 성능도 두마리 토끼를 잘 잡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써모랩은 냉각모듈을 제작하는 전문 회사로 CPU 쿨러를 기반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쿨러 외에 여러가지 다양한 제품도 있으니 한번 구경해보시길 바랍니다.
생각보다 큰 박스에 잘 담겨서 오는데, BADA 라는 이름이 인상 깊고. 봉인 스티커 라벨이 잘 붙어져 있습니다.
제품의 스펙 입니다. 박스에는 영어로 표시되어 있어서 약간의 접근성이 떨어집니다.
써모랩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한글 스펙을 보면되고, CPU 적용 가능 소켓 규격도 필히 확인 하세요
이제 박스 개봉을 하면, 안에는 포장이 잘 되어있는 BADA 2010 제품과, 설명서가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본품을 비롯하여 메인보드에 연결할 수 있는 부품들이 깔끔하게 포장되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초보자라 할 지라도 설명서를 잘 보면서 따라하면 쉽게 교체를 할 수 있습니다.
본품의 연결부품들 입니다. 부품은 연결되는 기준으로 4개가 되는데, 여분으로 하나씩 더 보내주기 때문에, 혹시라도 분실시 한 번 정도는 대비 할 있습니다.
그리고 장착방법에 따라사용되는 부품들이 많아질 수 있으니 꼭 사용 설명서를 잘 보셔야 합니다.
실제로 굉장히 크고 두꺼운데, 절묘하게 깍여진 단면과, CPU와 접촉하는 부분이 인상적 입니다.
6mm 두께의 U자형 히트파이프 3개와 알루미늄 방열핀을 한치의 들뜸도 없이 완벽하게 하나로 밀착하여 CPU의 열을 빠르게 분산 냉각 하도록 설계되어있습니다.
거기에 92mm 쿨링팬이 부착되어 있고, 히트싱크는 공기의 흐름에 최적화되게 촘촘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인텔에서 제공하는 기본쿨러와 크기 비교 입니다. 크기로 보나 높이로 보나 상대가 되질 않습니다.
당연하지만 성능은 말할 것도 없겠지요
BADA 2010 설치 방법과, 설치 전 주의사항 입니다. 설명서 보면서 차근차근 해도 괜찮긴 한데, 몇 번 읽고 숙지한 다음 설치작업을 시작 하는 걸 추천 드립니다.
스마트 클립을 방향에 맞게 잘 조인 다음에, 백플레이트를 조립하면 됩니다..
백플레이트를 조립 할 때 중요한 건 서모랩 로고가 위로 오게끔 조립해야 합니다.
반대로 하거나 잘못 끼게 되면 메인보드에 손상이 올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하고, 마지막으로 네군데에 모두 볼트와 고무를 결합하면 기본적인 준비는 끝이 나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메인보드 뒷쪽에 백플레이트를 잘 고정 시켜 주면 됩니다.
써멀구리스 적당량을 도포해야 하는데, 너무 많이 뿌리면 넘쳐서 나중에 컴퓨터가 작동되지 않을 수도 있고, 그렇다고 너무 적으면 CPU 성능이 저하 될 수도 있으니, 적당하게 도포해야 합니다.
써멀구리스 도포 한 뒤 그 위에 쿨러를 장착하면 되는데, 바람 방향을 고려하여 위치를 잡아주시면 됩니다. .
백플라이트를 부착한 위치에 잘 맞춰서 장착하시고, '손너트'로 고정해주면 끝나게 됩니다
.
마지막으로 CPU전원 커넥터를 메인보드에 연결하면 모든게 끝나게 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인텔에서 제공하는 기본 쿨러 발열량 입니다. 미니멈 36도, 맥시범 59도를 정도로 나오게 됩니다.
BADA 2010 쿨러 제품 장착 후 사용 발열량입니다. 일단 미니멈 31도로 5도 가량 낮아진 수치를 보여줍니다.
맥시멈은 49도로, 10도나 낮은 수치로 기록되었습니다. 이 말인 즉슨 온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차이는 더 심할 것으로 보이고, 특히 고사양 게임, 그래픽작업과 같은 성능을 많이 잡아먹는 상황에서 더욱 유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거기에 소음도 굉장히 낮기 때문에, 여러모로 좋습니다.
가격과 성능 두마리 토끼를 잡은 BADA2010 쿨러 추천합니다.
'경험이야기 > IT & 전자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스팸 댓글 차단하는 방법 (0) | 2024.09.26 |
---|---|
드럼 세탁기와 통돌이 세탁기의 차이 (0) | 2024.09.24 |
80년대에 게임그래픽을 만들던 방식 (0) | 2024.05.31 |
윈도우 10 설치 부팅 USB 만드는 방법 (0) | 2024.05.30 |
스마트폰끼리 원격제어 하는 방법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