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가 침략한 우크라이나 내전 때의 일화 입니다. 러시아군 : 여보세요, 당신의 동료가 죽었습니다. (사망한 우크라이나군의 핸드폰으로 전화) 우크라이나군 : 누구십니까? 러시아군 : 중령 마르치카 입니다. 우크라이나군 : 알렉스가 죽었다고요? 젠장 러시아군 : 네. 알렉스가 죽었습니다. 미안합니다. 이후에 사망한 알렉스의 엄마가 전화를 걸게 됩니다. 어머니 : 여보세요? 러시아군 : 예, 여보세요? 엄마 : 혹시 사샤 데멘토프(알렉스)의 전화기가 맞나요? 러시아군 : 용건이 어떻게 되십니까? 어머님 되십니까? 어머니 : 네. 전 걔의 엄마에요. 러시아군 : 매우 죄송합니다만, 아드님이 돌아가셨습니다. 엄마 : 알겠습니다... 그 아이를 집에 보내주실 건가요? ..

문자, 메신저로 여자와 잘 되는라는 법.. 없진 않겠지만 그리 추천 하진 않습니다. 모든 것은 만나서 행복한 연애를 하기 위한, 수많은 작업 수단이자 도구 중 하나일 뿐.. 도구에 결과를 대입해선 될일도 되지 않을 확률이 더 높겠죠.. 사실 입장 바꿔서 생각해보면 더 잘 알겠지만, 내가 막 좋아하는 사람도 아니고, 그냥 아는 사람 또는 안지 얼마 안된 사람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 상황인데, 거기다 '나'는 지금 여러가지 개인적인 일, 취미 등등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사람이 자꾸 메신저로 뭐 하는지, 밥 먹는지, 자꾸 틀에 박힌 이야기, 재미없는 질문들 늘어 놓으면서, 계속 보내면 솔직히 귀찮은 마음이 앞설 것 입니다. 이 글을 쓰는 '저' 조차도, 중요한 사람, 기존에 알던 친한 사람, 관심..

휴대폰 메신저라 하면 보통은 카카오톡, 문자 정도 될 것 같은데, 카카오톡이 처음 출시 되었을 때 제 주위의 반응은 냉담했습니다. ‘반짝하고 없어질 것이다’, ‘문자가 훨씬 편하다’, ‘어떻게 사용하는지 모르겠다’ 와 같은 부정적인 반응이 훨씬 많았던 기억이 납니다. 아무래도 초창기였고, 메신저는 컴퓨터로 사용하는 것이 익숙했지, 휴대폰으로 메신저를 사용한다는 생각 자체를 하지 않았던 시절 이었죠 하지만 카카오톡이 출시 된 후, 10년에 가까운 세월이 지난 지금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문자는 그저 광고문자 정도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고, 현 시대에는 카카오톡이 없는 휴대폰을 상상할 수가 없을 만큼 우리 생활에 너무도 가까워져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 시대에 카카오톡 메시지에 의미를 부여하지 말라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