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피부병 등 보기 몹시 혐오스러운 사진들이 있으니 주의 바랍니다.

어느 날 발바닥에 이런게 오돌도돌 난 친구들이 있을 것 인데,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피부가 감염되어 발생한 바이러스성 병변으로, 다시 말해서 "족저사마귀" 가 난 것입니다.

일반적인 티눈은 아닌데, 티눈은 쉽게 말해 각질 뭉침으로, 잘못된 걸음 습관이나,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억지로 오랫동안 신거나 하여 좁은 부위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서 발생하게 되는 것 입니다.

외관상으로는 가운데 박힌 "심" 이 두드러지며, 사마귀와 다르게, 주변에 까만 잡티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굳은살이 밀려나다 못해 심이 박힌 것이므로 전염성은 없으며, 주변부에 퍼지지도 않습니다.

치료 역시, 사마귀에 비하면 굉장히 간단한 편으로, 소독 후 각질을 무르게 한 뒤 "심" 을 제거한 뒤 깔끔하게 정리하는 것이 전부 입니다.
티눈의 원인이 되는 환경으로, 안 맞는 신발, 잘못된 걸음걸이, 기타 등등 정도만 개선하면 왠만해선 재발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치료 후에도 계속 발에 스트레스가 가해질 경우 재발할 가능성이 높으니, 신발은 편한 거 신고 똑바로 걸어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앞서 말했지만, 우둘두둘한 표면이 도드라진다면 사마귀라 볼 수 있는데, 바이러스가 병변을 만드는 과정에서 새로 형성되는 혈관들이 보이는게 특징입니다.
쉽게 말해 위로 보이는 까만 점이 다 모세혈관이라 이라는 것, 사마귀는 이 혈관을 통해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받게 됩니다.

일반적인 티눈과는 다르게, 사마귀는 바이러스성 질환이라, 그냥 냅두면 주변부로 퍼져나가는 양상을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맨발로 다니는 환경에서 옮기 쉬우며, 탈락한 조직에도 바이러 스가 있기 때문에, 공용으로 쓰는 손톱깎이로 사마귀를 억지로 자르면, 그 사실을 모르고 사용하는 다른 사람도 사마귀 걸릴 수 있으니, 괜시리 피해주지 말고 바로 병원에 가는 것이 낫습니다.
그리고 사마귀는 생존력이 강해서, 떨어진 조직에서도 생존할 수 있으며, 점막이나 개방된 부위에서는 더더욱 전염성이 강해집니다.


위 사진처럼 억지로 뽑다간.. 아프기도 오지게 아플텐데, 괜시리 어설프게 억지로 뽑았지만, 생존력이 엄청나게 강하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이 다시 생기게 됩니다.
이 분 같은 경우에는 롱노즈 뻰치로 자가시술을 시도했다가, 닷새만에 도로 사마귀가 올라왔다는 후기를 남기기도 했습니다.
징그럽지만 자세히 보면, 사마귀 뿌리 끝 조직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기에 당연히 발에는 바이러스 조직이 남아있었을 것이기에, 재발했을 것입니다.
이 악물고 낑낑거리며 피도 엄청 흘렸을텐데, 금새 재발해버리면 이리 짜증나는 경우도 없을 것 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간단한데, 가까운 병원가면 사진처럼 덜 아프면서도 깔끔하게 뽑아줍니다.
외과적 수술로 조직을 깔끔하게 제거하거나, 수술 후 봉합까지 다소 시간이 걸리고, 실밥과 같은 처치 번거로운 면이 많아, 액체질소 등으로 저온으로 얼려 사마귀조직을 파괴하는 방식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또는 주사치료도 있는데, 블레오마이신과 같은 약제를 주사로 놓아주지만, 무지막지하게 아픈 대신 효과가 확실하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그 외 레이저 치료, 도포제 처방(베루말) 등이 있는데, 환부의 양상 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들이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피부과 의사와 상담하면 됩니다.
치료 방법에 따라 다르겠지만, 길게 잡아도 대략 2주 정도면 새 살이 자라나기 시작하며, 정도의 차이일뿐 고통은 어느 정도 있으나, 손, 발사마귀 치료는 건강보험 처리가 됩니다.
.
냅둬서 기르느니 차라리 일찍 병원 가서 조금만 아프고 마는 것이 정신건강면에서도 훨씬 좋으며, 번지면 번질수록 치료도 어려워지고 아프기도 무지하게 아프기 때문에, 괜히 자가치료한다고 삽질하지 말고 병원부터 가도록 합시다.
'딥한이야기 > 공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증 현실은 공포게임보다 훨씬 무섭다 (0) | 2024.09.30 |
---|---|
사람이 도저히 살 수 없는 집 (0) | 2024.09.14 |
갠지스강이 진정한 죽음의 강인 이유 (0) | 2024.09.04 |
과천 토막 살인 사건 (2) | 2024.09.03 |
북한 정치범 수용소에서 탈출한 소년의 수기 (0) | 2024.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