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두꺼비
두꺼비는 넓은 의미로는 두꺼비과(Bufonidae)에 속하는 개구리목 동물의 총칭이고, 좁은 의미로는 한국에 서식하는 두꺼비(Bufo gargarizans)종을 칭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두꺼비는 개구리에 속하는가, 속하지 않는가, 이를 알기 위해 우선 개구리와 두꺼비 사이의 관계부터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종들인 무당개구리, 청개구리, 두꺼비, 참개구리, 맹꽁이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1.무당개구리 2. 청개구리 3. 두꺼비 4. 참개구리 5. 맹꽁이

예로 든 5종은 크게 두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 두 분류군은 원와아목과 신와아목인데, 원와아목에는 무당개구리가 속하고, 신와아목에는 나머지 청개구리, 두꺼비, 참개구리, 맹꽁이가 속하게 됩니다.(우리나라 개구리들은 무당개구리 빼고 다 신와아목에 속하고 있음)

그리고 신와아목으로 분류되는 4종은 다시 두개의 분류군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청개구리상과와 개구리상과인데, 청개구리상과에는 청개구리와 두꺼비가 속하고, 개구리상과에는 참개구리와 맹꽁이가 속하고 있습니다.

 

 


즉, 예로 든 5종 중에서 개구리 종류인 청개구리와 가장 가까운 종은 다른 개구리 종류가 아닌 오히려 두꺼비임을 알 수 있습니다.
 
 
알고보니 비교적 가까운 사이였던 두꺼비와 청개구리
나머지 4종과 가장 유연관계가 먼 종은 오히려 두꺼비가 아닌 무당개구리가 됩니다.(사실 무당개구리도 해외에서는 겉모습 때문에 toad(두꺼비)라고 불림)
하지만 일반적으로 "개구리"라 함은 두꺼비를 포함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마 두꺼비과(Bufonidae)에 속하는 종들이 다른 개구리류의 종들과는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그런것이 아닌가 합니다.
비교적 건조한 피부라던가 다른 개구리들과는 다른 체형이라던가 혹은 다른 행동을 보인다던가 등
 
 
이와 같이 공통조상을 공유하지만 그의 모든 자손을 포함하지 않는 생물 분류를 측계통군이라고 합니다.
 
두꺼비과는 개구리의 한종류에서 파생되어 다른 개구리들과 공통조상을 공유하지만 개구리류에 포함되지는 않습니다.
 
개구리와 같은 측계통군의 예는 파충류가 있습니다. 파충류의 일종에서 조류가 파생됐지만 파충류는 조류를 포함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여담으로 공통조상과 그의 모든 후손을 포함하는 생물분류를 단계통군이라고 하는데, 단계통군 분류 방법으로 분류하면, 엄밀히 따지고 보면 사람도 양서류의 일종이고 경골어류의 일종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