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두꺼비는 넓은 의미로는 두꺼비과(Bufonidae)에 속하는 개구리목 동물의 총칭이고, 좁은 의미로는 한국에 서식하는 두꺼비(Bufo gargarizans)종을 칭하기도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종들인 무당개구리, 청개구리, 두꺼비, 참개구리, 맹꽁이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예로 든 5종은 크게 두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 두 분류군은 원와아목과 신와아목인데, 원와아목에는 무당개구리가 속하고, 신와아목에는 나머지 청개구리, 두꺼비, 참개구리, 맹꽁이가 속하게 됩니다.(우리나라 개구리들은 무당개구리 빼고 다 신와아목에 속하고 있음)
그리고 신와아목으로 분류되는 4종은 다시 두개의 분류군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청개구리상과와 개구리상과인데, 청개구리상과에는 청개구리와 두꺼비가 속하고, 개구리상과에는 참개구리와 맹꽁이가 속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4종과 가장 유연관계가 먼 종은 오히려 두꺼비가 아닌 무당개구리가 됩니다.(사실 무당개구리도 해외에서는 겉모습 때문에 toad(두꺼비)라고 불림)
하지만 일반적으로 "개구리"라 함은 두꺼비를 포함하지 않고 있습니다.

비교적 건조한 피부라던가 다른 개구리들과는 다른 체형이라던가 혹은 다른 행동을 보인다던가 등

두꺼비과는 개구리의 한종류에서 파생되어 다른 개구리들과 공통조상을 공유하지만 개구리류에 포함되지는 않습니다.
개구리와 같은 측계통군의 예는 파충류가 있습니다. 파충류의 일종에서 조류가 파생됐지만 파충류는 조류를 포함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반응형
'딥한이야기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쥐를 위해 만든 유토피아 사회실험 (0) | 2024.08.21 |
---|---|
사람 유전자를 원숭이 수정란에 끼워 넣은 결과 (0) | 2024.08.07 |
아시아 경제 대도시 TOP 10 (0) | 2024.05.20 |
영구기관이 불가능한 이유 (0) | 2024.05.07 |
6시간 동안 마음대로 하라고 했을 때, 행동실험 (0) | 2024.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