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과 침팬지의 아기를 함께 키우면 어떻게 되는가.. 그런 흥미로운 실험이 이전에 실행 된 적이 있습니다. 침팬지는 인간에 영향을 조금이라도 받으면, 인간 같이 성장할 것인가에 대해 1931년에 심리학자가 실제로 실험을 단행하게 됩니다.피실험자는 구아라는 아기 침팬지와 생후 10개월의 소년인 도널드 켈로그, 구아와 도널드는 같은 식탁에서 식사를 하도록 키워졌습니다. 학자들은 실험 기간 동안 신장, 체중, 혈압, 지각 운동 기능을 검사하고 다시 두개골 차이까지 기록하게 됩니다. 놀랍게도 동일한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인간인 도널드보다 침팬지 구아 쪽이 인간의 환경에 잘 적응하고 있었던 것 이었습니다. 구아는 도널드보다 먼저 학자를 기억하고 먼저 인간에게 인사를 하고 용서받는 행위를 했습니다. 또한 구아가 장..

1994년 10월, 부유한 상류층 집안의 가장 이모 씨와 그의 아내는 난치병을 앓고 있는 하나 뿐인 아들 이군의 수술을 앞두고 있었습니다.그러한 도중 혈액검사 결과 자신의 친자식일 수 없다는 결과를 받게 되고, 급하게 유전자 검사를 하지만 결국 친자불일치 판정이 나게 됩니다. 추적 결과 같은 산부인과에 있었던 다른 집안의 아이와 실수로 병원 기록이 바뀌었고, 그대로 자식이 바뀌어 버린 것 입니다. 이씨 부부는 부유한 형편으로, 아들 이군(김씨 부부 친자)은 남부러울 것 없이 자라났지만, 난치병이 있었고 부모와는 달리 학업에서 지지부진한 성과를 보였습니다.반대로 김군(이씨 부부 친자)은 넉넉지 못한 형편의 김모 씨 부부 밑에서 자라고 있었습니다.김군은 우등생으로 자라나 원하는 대학에도 합격한 상태였으며..

얼마 전 에 실린 내용 입니다. 이 저널에 따르면 아이들은 어른을 외모에 따라 평가하는 것으로 실려 있습니다. 연구팀은 8세, 10세, 12세 아이들에게 200명의 낯선 남성의 얼굴을 보여주고, 얼마나 믿는지 조사했는데 모든 연령대에서 '잘생겼다’는 평가를 받은 사람이 '믿을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처럼 외모에서 좋은 인상을 받을 경우 그 사람의 지능은 물론 성격 까지도 좋게 평가되는 것을 심리학에서는 '후광 효과(Halo Effect)'라 부르곤 합니다. 진화학에서는 미남,·미녀 또는 건강미 넘치는 사람에게 끌리는 것이 당연한 생존 본능이라고도 합니다. 그러나 위의 실험 결과에서 높은 연령대 아이들일수록 잘 생긴 외모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아졌다는 사실을 볼 때, 외모에 대한 평가는..

이제야 한숨을 돌리고, 마음을 가라 앉고 글을 씁니다. 아기 어머니들이 이 글을 읽고 조심 하셨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쓰네요.. 엊그제 집에서 제일 가까운 대형마트에 갔습니다. 어머님, 신랑, 저, 70일 지난 아기 이렇게 해서 갔는데, 저희 애는 태어난지 얼마 되지 않아서, 목을 조금씩 가누기 시작 했습니다. 저는 아기를 앞으로 매는 아기띠를 두르고 안은채로 장을 보고 있었고, 신랑은 카트를 끌고 있었고, 어머님은 필요한 것을 사주신다고, 정신 없이 이것저것 고르고 계신 상황 이었습니다. 그때 마침 어머님이 2층에 아기용품이 있는 곳으로 가자고 하셨지요, 아이 모자를 사주고 싶으시다면서, 그때 더 조심 했어야 했는데.. 하면서 후회가 많이 됩니다. 2층으로 올라간 저희는 아기용품점의 아가룸에서 모자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