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사람은 결국 시간이 흐르면 죽기 마련 입니다.

 

안타깝지만 그것이 현실이며, 죽음 이후의 세계는 현재도 그 어떤 것도 밝혀진 것이 없습니다. 영원히 의식이 없이, 당신은 존재하지도 않았다고 할 수 있는 무의 세계로 돌아갈 수도 있거나, 종교에서 말하는 사후세계가 거짓말 일 수도 있겠지요.

 

다만, 죽기 일보 직전까지의 상황은 과학에서 이미 많이 발혀낸 것이 있습니다. 

고등동물이 죽는 과정은 다양하지만 대부분이 뇌와 심장의 정지가 주요한 사망 원인 입니다. 의사는 대부분이 뇌의 정지를 죽음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뇌는 생명체 전체의 활동을 조절하는 부위로, 이곳의 기능이 멈추면 몸 전체의 기능이 차례대로 정지하여 결국 완전한 사망에 이르게 되지요.

뇌가 멈추고 소뇌가 멈추면, 이윽고 심장마비, 호흡곤란 순으로 넘어가게 되는데, 소뇌가 죽으면 호흡을 조절하기가 어렵게 됩니다. 반대로 호흡이 되지 않아서 뇌가 멈출수도 있고, 산소가 공급되지 못할 시에는 혈액 속 산소농도가 급격히 떨어지게 되고, 산소가 각 조직으로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면 조직의 세포가 차례대로 죽게 되는 것 입니다.

 

이때 인간은 최후의 방어기제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뇌세포가 집중적으로 사망할 시에 죽음의 고통을 덜고자 죽기 전에 이상발달 마약물질을 대뇌에 분비하게 됩니다. 

 

이 물질은 인간이 연구 개발한 최고의 진통제인 모르핀의 수백배의 효과가 있으며, 사람이 주로 웃거나, 극한의 상황에 처하게 될 때 아주 조금씩 극미량~보통량 수준으로 분비되는 물질입니다.

신체 활동이 많은 운동선수, 일부 탐험가들은 이 엔돌핀의 분비를 경험하기 위해 자신을 죽음 직전까지 몰고 가거나, 그 외 사람들이 이 극강의 쾌감을 위해 인위적으로 폐속에 공기를 제거하고, 자신의 목을 졸라 뇌세포를 급격하게 사망시켜 이 물질을 분비시키려 노력 하기도 합니다.

 

이 죽음의 고통을 잊게 해 주는 마약의 물질인 엔돌핀은 어마어마한 쾌락물질로, 순식간에 몸을 진정시키고 죽음에 대해 마지막 관문을 열어주게 되는 것 입니다. 

사후세계를 넘나 들었다고 '주장' 하는 이들은 죽는 순간 편안해 지면서, 시야가 하얀 빛으로 환해졌다고들 합니다. 사실 이는 순간 죽은거라기 보단, 엔돌핀이 과다 분비되어 뇌의 전기활동이 최대치로 증폭된 '최후의 자폭' 으로 보는 것이 더 맞다고 볼 수 있겠지요.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