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로 허난성 주민의 1인당 GDP는 연평균 8,000달러 수준에 불과한데, 이는 중국 내 27개 성 가운데 매년 꼴찌를 기록하는 최대 빈곤지역이라 볼 수 있습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이 지역 사람들에 대한 중국 사회의 편견이 지금도 ‘현재진행형’으로 증폭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건은 최근 등장한 ‘에이즈 감염자=허난성 출신자’라는 악명입니다.이 지역은 경제적 고난으로 인해 매혈(買血‧은행에서 피를 사고파는 일)의 풍습이 오래도록 지속해 왔는데, 이 같은 매혈 풍습은 곧장 이 지역 일대에 에이즈 감염이라는 무서운 질병을 안겼고, 그로 인해 이 같은 오명까지 얻게 된 것 입니다. 오명과 악명을 떨칠 기회도 없이, 시간이 지날수록 오히려 비난과 비판의 대상이 되는 하남 지역민들. 그들의 역..

LA에서 식료품정을 운영하던 홍정복(52)씨는, 근처에 사는 흑인들에게 인간적이면서도 따뜻하게 대해줬습니다. 갑작스레 흑인 청년이 맥주를 훔쳐서 도망가는걸 보면, 그저 넘어진다면서 소리쳐서 알려주는가 하면, 돈이 없어서 아이 기저귀를 사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귓속말로 다음에 갚으라고 할 정도였습니다.알콜중독 흑인 남자가 생계유지 수표를 들고오면 아내에게 전화해서 잔돈을 가져가라고 알려주기도 했습니다. 피부색이 다르다고 차별하지 않았고, 모두를 똑같이 대해준 그녀는, 어느 날 히스패닉 2인조 강도에게 살해 당하게 됩니다. 그녀의 아들도 다리에 총을 맞았습니다. 홍정복씨의 장례식에는 300명이 넘는 흑인들이 참석하게 되었는데, 장례식장에 남겨진 쪽지 내용 중에는.."영원히 사랑할 거에요.마마!", "남을..

1. 초기 페미니즘 초창기 페미니즘(Feminism)은 18세기~19세기 유럽에서 시작 되었습니다. 그 당시 시대적 배경을 놓고 봤을 때, '여성'은 차별에 대상으로 여겨졌습니다. 기본적으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으로 봤을 때, 불평등을 넘어서서 심한 차별과 억압을 받던 시대 였습니다. 그 시대는 '여성이 남성과 같은 권리와 기회를 누려야 한다는 믿음과 목표, 혹은 이를 성취하기 위한 투쟁' 라는 신념을 쟁점으로 두고 여성 권익 신장을 위해 싸웠다고 볼 수 있을 만큼 어려운 상황 이었습니다. 지금 시대에서 우리의 생각과 관점으로 보면 굉장히 의아할 수 있겠지만, 그 당시 신문 기자가 '페미니즘은 여자도 사람 이라고 주장하는 급진적인 개념' 이라고 신문에 대놓고 기재 하기도 했을 만큼, 여성이라는 신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