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로 무균수술법으로, 즉 수술에 있어서 소독의 필요성에 대한 대 발견 이었습니다.그 당시에 의사가 된다는 것은 수술 현장의 날카로운 비명과 몸부림뿐만 아니라, 수술실 공기를 더럽히는 부패한 살에서 나는 구역질 나는 냄새에 단련된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상처 감염은 너무 일반적인 합병증이라 수술이 끝나면 환자들과 의사들은 으레 고름을 예상하게 되었을 정도 입니다.(by 프레데릭 트레비스 Frederick Treves) 1870년대 초 런던의 병원 수술실 묘사 "수술실에는 겨울이나 여름이나, 또 밤이나 낮이나 항상 불이 켜 있는 난로가 있다. 엘리자베스 여왕 시대부터 했던 대로, 지혈을 할 때 사용하는 인두를 달구기 위해 항상 불을 준비해 놓는 것이었다. 패혈증은 병실에서 일반적인 병이었다. 사실 심각..

최근 몇 년 사이 출시되고, 있는 한화 수십억 원 가량의 희귀병 치료제 가격 입니다. 왜 이렇게 비싼가 하면, 이 치료제들의 공통점이 있는데, 바로 유전자 치료제라는 것 입니다. 기존 치료제와 달리 문제가 생긴 유전자를 정상적인 치료된 유전자 대체하여 근본적으로 원인을 고친다고 합니다. 원리는 다음과 같은데, 그 외 몇 일 전 FDA 허가받은 세계 최초의 유전자 편집 치료제 는 문제를 일으키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잘라내고 다시 체내에 주입하여 안착하는 방식 입니다. 위와 같이 문제를 일으키는 유전자를 근본적으로 교정하여 치료하는 원리로, 한번만 투여하면 치료 된다고 해서 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만성질환처럼 꾸준히 약을 복용하며 평생 관리 해야 하는게 아니라, 딱 한 번만 맞으면 되는 편리함도 가지고 있습니..